
다양한 연관관계에 대해 알아봅시다.연관관계를 매핑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3가지가 있습니다. 방향(단방향, 양방향)연관관계의 주인다중성앞서서 방향과 연관관계의 주인에 대해 다뤘음으로 바로 다중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다중성이란?JPA는 객체를 테이블에 매핑하기 위해서 다양한 어노테이션을 활용하는데, 이 중에서 다중성과 관련있는 어노테이션은 아래와 같습니다. @ManyToOne: 다대일@OneToMany: 일대다@OneToOne: 일대일@ManyToMany: 다대다다중성은 각각 자신의 속성에 대칭성을 가지는데, 예를 들어 Team -> Member 가 일대다일 경우 Memebr->Team은 다대일입니다. 2. @ManyToOne(다대일)단방향 [N:1]가장 많이 사용하는 연관관계로, ..

1. 연관관계 매핑엔티티들은 대부분 다른 엔티티와 연관관계들이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회원과 팀이 있다고 가정하면 회원은 특정 팀에 속할 수 있고, 팀은 여러 회원을 가질 수 있습니다. 이 둘의 관계를 객체와 테이블로 어떻게 나타내는지 살펴봅시다. Member 객체가 Team 객체를 참조하기 위해서는 teamId가 아닌 Team 객체를 참조(주소)로 관계를 맺습니다. 반면, 테이블은 teamId를 이용해서 외래 키를 사용해 관계를 맺습니다. 👉🏻 객체의 참조와 테이블의 외래 키를 매핑하는 것을 JPA를 이용해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우선 위 사진에서 객체 모델링한 것을 코드로 표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@Entity@NoArgsConstructor..
- 메일
- @ManyToOne
- 비동기
- @MappedSuperclass
- 영속성 컨텍스트
- @Cacheable
- @Table
- 1차 캐시
- @GeneratedValue
- onetoone
- N + 1
- @joincolumn
- 최적화
- @OneToMany
- 즉시 로딩
- 엔티티 매니저
- mappedBy
- 스키마 자동 생성
- 준영속
- @TransactionalEventListener
- 연관관계
- 조인 전략
- 비영속
- 단일 테이블 전략
- @Entity
- 인메모리 db
- JPA
- @Id
- 변경감지
- Redis